정보마당

학술동향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cupuncture in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최고관리자 19 2024-03-26
1. 배경 및 연구목적
   안정적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심박변이도 수치는 매우 낮아져 있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성은 돌연 심장사로 이어지기도 한다. 통계에 의하면 돌연 심장사 중 안정적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은 30~50%이고 이는 매년 약 150,000명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그 위험요인은 흡연, 고혈압, 운동부족, 고지혈증과 당뇨병이지만, 심장정지의 직접적인 기전은 심장의 자율신경계를 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대표적인 검사기기로는 심박변이도 측정기(HRV)가 흔히 사용된다. 최근 심장 자율신경계 톤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급성 심장 질환을 일으킬 확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보고가 있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그 톤을 효과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했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침 치료가 소동물에서 부정맥 발생률을 줄여주고 고혈압도 낮춰준다는 긍정적인 연구 결과가 있었으며, 임상실험에서는 안정적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협심증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결국 침 치료가 심장의 자율신경계 리모델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총 151명의 안정적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침 치료군, 샴침 치료군, 그리고 대기군 총 세 개의 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12주간 치료를 시행하였고, 그 1차적 결과를 HRV로 측정하였다. HRV 결과 이외에도 혈압, 리포단백질, 인슐린 저항성, 타액 내 코티솔 수치, 혈관 염증수치, peripheral arterial tonometry (PAT) 검사를 통해 혈관 내피세포 기능 검사, 그리고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같이 확인하였다. 

2. 방법

1) 연구 설계 : 맹검 무작위 대조군 연구

2) 연구 대상 : 안정적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을 받은 남녀 총 151명

(1) Inclusion criteria
- 18세 이상의 남녀
- 심근경색 과거력, 관상동맥 조영술, 혈관성형술 혹은 관상동맥 우회술 등의 시술을 한 경험이 있는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

(2) Exclusion criteria
- 비안정형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 울혈성 심부전 > New York Heart Assocation class III
- 신부전, 간부전
- 3개월 이내에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
- 심방세동 혹 유사 심장리듬이상 질환
- HIV 감염, 급만성 간염, 기타 침술 치료가 위험할 감염질환을 앓고 있는 자
- 정신질환자
- 기타 임상연구자가 판단하기에 참여하기 부적합한 자

3) 무작위 배정 과정
 블록 무작위배정 방법을 통하여 침 치료군 47명, 샴침 대조군 52명, 그리고 대기군 52명으로 나뉘어 배정되었다. 

4) 치료방법

(1) 침 치료군
 내관, 간사, 신문, 전중, 합곡, 족삼리, 태충, 삼음교 총 8개의 혈에 침치료를 일주일에 3회 총 12주간 치료 받았다. 눈가림을 위하여 자침 후 침관으로 침을 씌운 후 테이프로 피부에 부착하였다. 

(2) 대조군
 플라시보 침은 그림 1과 같이 혈자리 주변에 있으나 경락선상은 벗어난 곳에 침관으로 눌러서 자침하는 듯한 느낌을 주었지만 실제 침을 자입하지는 않았으며, 누른 후에 침관은 테이프로 부착하여 실제 침치료를 한 것처럼 보이게 하였다. 본 연구의 플라시보 침 치료법이 눈가림에 효과적이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연구 (피험자 17명)에서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차이 없게 나왔다. (Fig 1.) 

(3) 대기군
 플라시보 침군의 결과에 플라세보 효과가 반영되어 있을 것을 대비하여 대기군으로 배정된 환자들은 실험이 진행되는 12주동안 무처치 대기하도록 한 후 그 기간동안의 지표들을 치료를 받은 대기군의 제 2의 대조군으로 삼아서 분석하기로 하였다.

5) 평가

(1) 1차 평가 지표 : 24시간 홀터기를 이용한 HRV 모니터링과 두 번의 자율신경계 자극 스트레스 유발 실험. 측정 48시간 전부터 교감신경을 흥분시킬 수 있는 카페인 음료, 음주, 흡연 등을 금지 시킨 후 24시간동안 측정하였으며 그 사이에 두 번의 스트레스 유발 시험을 하여 그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유발 시험 방법은 첫째, 2분동안 4자리 단위의 숫자에서부터 7의 수를 계속 빼도록 하는 것과 둘째, 4℃얼음물을 2분간 이마 위에 얹어 놓는 것으로 하였다.)

(2) 2차 평가 지표 :  총콜레스테롤 수치, TG, LDL, HDL, serum glucose 등을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하였고, 타액도 채취하여 코티졸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침치료의 말초혈관 내피세포 기능에의 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말초혈관압측정기(PA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타액은 피험자  baseline 확인시, 실험 시작 직전, 실험 종료 직후 총 3회 측정하였다. 

(3) 추가 평가 지표 : 모든 피험자들의 심리사회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피험자들이 연구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Cook-Medley Hostility Inventory, Spielberger trait anxiety scale, Duke Support Index, SF-36, Duke Activity Status Inventory, Seattle Angina Questionnaire를 측정하였다.  

1) 1차 평가지표

(1) HRV의 변화
 실험 시작 전과 종료 시에 측정한 HRV 결과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 종료 후에 측정한 자율신경계 스트레스 유발실험 중 산술문제 실험의 HRV 결과는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침치료군의 HRV 항목 중 HF, LF, LF/HF, 평균 NN, rMSDD, 그리고 pNN50 의 수치가 샴침 대조군의 HRV수치들보다 높게 나왔다. (Table 3.)

샴침 대조군보다 침치료군의 HF는 17% (p=0.008 Table 3) 높았고, rMSSD와 pNN50 도 모두 높았다. 이와 반대로 샴침 대조군의 부교감신경 톤이 대기군의 톤보다 11% 낮았다 (p=0.009), LF/HF 비율은 침치료군이 샴침 대조군보다 8% (p=0.015) 낮고, 대기군보다는 2% (p=0.38) 낮았다. 

2) 2차 평가지표
 다른 평가지표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지 않았다. 

4. 고찰
   그동안 수많은 논문을 통하여 내관혈과 간사혈을 자극할 경우 group III, IV afferent 신경섬유의 자극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시상하부, 중뇌, 메둘라 부위까지 신호가 전달되어 심혈관계통의 조절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12주간의 침 치료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HRV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침 치료를 하였을 경우 샴침 대조군에 비해 HRV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침 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HRV 결과는 시간과 빈도의 두 도메인 다 부교감 신경의 활동을 나타내는 수치가 실험 종료시에 전반적으로 높아져 있었으며, 이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특히나 침 치료군과 샴침 대조군의 SDNN 수치 차이는 임상적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이유는 기존 연구에서 SDNN<70ms 정도면 심근경색 병력 이후에 부정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치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HRV는 심혈관계의 자율신경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지표이며, 본 연구는 안정형 허혈성 심장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침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준 첫 연구이기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심박변이도는 외부의 요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연구할 때 실질적으로 외부 환경 요인을 모두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측정하기란 불가능하다. 온도 변화, 활동 여부, 수면 패턴, 낮잠 여부, 외부 환경적 요인이 최종 결과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을지 짐작할 수는 없으므로 본 연구의 결론을 확대 해석하면 안 될 것이다. 또한, HRV 측정은 환자마다 개인내변산도가 높기 때문에 결론을 해석할 때 이 점 또한 유의해야 할 것이다. 
   Secondary endpoints들 중에서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이 없는 것은 본 연구에 참여한 환자군의 특성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허혈성 심장질환자 중에서도 안정적 상태에 있는, 즉 여러 약물치료를 통해 현재 호소하는 증상이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침 치료가 사회심리학적 영향이나 기타 혈액 및 타액 검사에 영향을 끼칠 정도로 크지 않았을 수 있다.  
 
5. 결론 및 시사하는 바
 본 연구는 피험자-눈가림된 무작위 배정 연구로 침 치료의 특성상 대조군이 완벽하지는 못했지만 플라세보 효과를 줄이려는 노력을 많이 한 연구이다. 약물 치료를 받고 현재 안정적인 상태에 있는 심혈관 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침 치료를 받는 것이 임상적으로 좋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침 치료가 HRV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여러 연구를 통해서 이미 나타났던 바이므로 앞으로도 더욱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이를 임상에서 활용시킬 방향을 모색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cupuncture in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http://www.ncbi.nlm.nih.gov/pubmed/25103909)